■ 모바일 서비스 및 보안 기술 동향 세미나 요약 보고서 ■
모바일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엔드유저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즉 모바일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백엔드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유, 모바일 통합 솔루션일 경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유선 인터넷의 주요 플랫폼이라 할 수 있는 PC까지 포함하게 된다. 모바일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이 기존 유선 인터넷 애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네트워크 자체의 트래픽 관리와 보안 위협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네트워크 보안기술의 흐름을 파악하고 현재의 네트워크 보안 장비에서 보다 향상된 트래픽 제어기술과 네트워크 보안이 접목된 기술, 침입차단기술, VPN 기술, 웹 서비스에 대한 보안기술 등 안정된 네트워크 통합보안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 제한된 모바일 인터넷 사용 환경에 적합한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적용
모바일 인터넷 애플리케이션과 기존 유선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사용 환경이다. 네트워크 속도 이외에도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한된 화면 크기와 색상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제약 조건으로 작용한다. 3G 상용화와 디바이스 개발을 통해 이와 같은 제약 조건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는 낙관론자도 있지만 아직은 서비스 사용료와 디바이스가 아직은 고가이기 때문에 개선된 모바일 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이 상용화되기까지는 2-3년은 더 기다려야 할 것이다.
■ 개인화된 솔루션
개인화(Personification)는 모든 인터넷 기반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의 주요 트렌드이지만, 개인 소유 성격이 강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더 높은 수준의 개인화를 요구하고 있다.
■ 네트워크 통합보안기술 전망
향후 네트워크 보안은 정책기반 관리방식의 중심으로 통합보안 제품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 보안장비는 고속의 트래픽 처리능력과 더불어 보안기능을 가지고 있는 형태와 라우팅 기능은 배제한 채 보안 기능만을 지닌 전용장비 형태가 함께 발전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앞으로는 여러 보안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통합보안장비 또는, 복합보안장비들 및 고성능의 네트워크 보안전용장비들이 정책기반으로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날로 다양해지고 복잡해져 가는 사이버 위협에 대처할 것으로 보인다.
완벽한 네트워크 보안 관리는 하나의 박스나 장비로 절대 이뤄질 수 없는 것이다. 결국 보안 취약점을 보안하는 기술을 올바르게 적용하여 실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통합보안제품으로 발전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