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웹 환경에서 브라우저로 NAS Docker 에 접속하여 Jupyter Notebook 을 이용한 파이썬 사용 방법

1. 시놀로지 DSM 페키지 센터에서 docker 설치 후 실행
2. '레지스트리' 카테고리에서 jupyter 검색 후 jupyter/datascience-notebook 설치
3. 컨테이너 고급 설정에서 폴더 추가 및 마운트 경로 입력
4. 컨테이너 고급 설정에서 포트 설정은 기존 '자동'에서 '8888'로 변경.
5.마법사 완료 후 이 컨테이너 실행 체크 후 적용
6.http://NAS주소:8888접속 시도
7.DSM제어판 ->외부 엑세스->라우터 구성에서 8888포트 추가 생성
8.필요시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
9. 필요 토큰은 NAS Docker의 '비디오 형식'에서 세바사항->로그에서 확인/사용

반응형
반응형

NAS 시놀로지 이용시에 주기 적으로 특정한 동작을 하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을 때, 활용할 수 있는 방법 입니다.

DSM(Disk Station Manager)에 접속후 제어판에서 '작업 스케줄러'를 선택 합니다.

생성 -> 트리거된 작업 ->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를 선택 합니다.

작업 생성 창이뜨면,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합니다. 파이썬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특정 폴더의 확장자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작업 설정을 해봅니다.

아래는 특정 폴더에서 파일 확장자를 변경하는 파이썬 프로그램 입니다.

#-*- coding: utf-8 -*-

import os,sys
folder = '/volume1/폴더명'
for filename in os.listdir(folder):
	infilename = os.path.join(folder, filename)
	if not os.path.isfile(infilename): 
		continue
	oldbase = os.path.splitext(filename)
	newname = infilename.replace('.mp4', '.m4a')
	output = os.rename(infilename, newname)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