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포토스케이프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버튼을 선택합니다.
http://x.photoscape.org/

 

PhotoScape X for Mac and Windows 10

History There is a mouse issue in macOS ( Mojave 10.14.0 ~ 10.14.3 and Catalina 10.15 ). A fix for this will be available shortly. --> * Version 4.0.2 (Dec 31, 2019) * Version 4.0.1 (Dec 21, 2019) * Version 4.0 (Dec 17, 2019) (PhotoScape X 4.0 for Windows

x.photoscape.org

애플스토어로 연결되네요. 다운로드 하고 '열기' 를 클릭합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맥 OS 환경에서 한영전환 단축키 설정을 변경 할 수 있습니다.

Shift스페이스 부분을 마우스로 클릭하고 단축키를 눌러 새로운 키를 설정 할 수 있습니다.
단, Shift + 스페이스의 경우 입력이 안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는데, 키보드의 fn 키와 같이 눌러줘야 합니다.
(저는 윈도우키보드의 fn 키를 같이 조합해서 눌러 보았는데, 설정이 되지 않아 애플 매직 키보드를 연결 하고 fn 키 조합으로 Shift + 스페이스를 누르니 설정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애플 키보드를 사용하며 맥과 윈도우를 사용하다 보면 한영전환 키가 달라 불편 합니다. 혹은 키보드 공유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한영 전환 키가 먹지 않는 등의 불편이 있어 한영전환을 Shift+Space 로 설정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윈도우 10 에서 한영전환 설정을 Shift+Space 키로 하는 방법 입니다.

시간 및 언어 선택
한국어 옵션 선택
레이아웃 변경 선택
한글키보드(101키) 종류 3 선택 후 재부팅

재부팅을 한 후부터는 한영전환 키로 Shift+Space 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맥북프로 윈도우 사용시 가상화설정이 아래 사진 처럼 비활성으로 나올 때가 있습니다.

역시나 구글에 해답이 있네요.

더보기

After hours of searching the internet, I discovered how to enable virtualization in Boot Camp. Instead of booting into Windows by holding the option key on startup, boot in to OS X. Then go to System Preferences -> Startup Disk and choose your Boot Camp partition. The computer will restart and boot into Windows, with virtualization enabled.

맥으로 부팅 후 시동 디스크에서 부트캠프 윈도우를 선택해주고선 '재부팅'을 실행합니다. 윈도우 부팅 후 다시 가상화 설정이 '사용'으로 바뀐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맥 OS 부트캠프 지원에서 지원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으려고 들어가 보니 아래 화면 처럼 "Windows 볼륨 및 해당 볼륨에 있는 모든 콘텐츠가 영구적으로 유실됩니다."란 경고가 뜨네요.

아무래도 Boot Camp 윈도우를 새로 설치해야 하려나 봅니다. ;;

아닙니다. 역시나 방법을 몰랐던 거군요. Boot Camp 지원 메뉴에서 '동작' 에 Windows 지원 소프트웨어 다운로드가 있군요.

실행해서 다운 위치 지정하고 다운로드 진행 합니다.

Windows 지원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합니다.

* 참고, Boot Camp 제어판에서 '키보드' 탭이 보이지 않을 때
블루투스 장치 추가로 블루투스 키보드를 한 번 연결 한 후에는 아래 처럼 '키보드' 메뉴 탭이 활성화 된다.

 

반응형
반응형

맥 미니(2018)을 구매해서 저렴하게(?) 본체를 마련하고 16/32GB 램을 이용하는 방법은 기존 8G 맥 미니 모델을 구입하여 추가 램 구매 후 램을 맥 미니에 자가 업그레이드를 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램과 도구는 아래 처럼 아마존에서 셋트로 구매가 가능하며 램 품질이 정품보다 떨어질까란 걱정을 했는데, 램 성능도 안정적인 것 같아 만족스럽네요. 세 번째 드라이버 키트는 샤오미 드라이버 키트등의 제품을 가지고 있다면, 생략해도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4k LG 모니터>
부팅 시 5k 썬더볼트 모니터 와 HDMI 모니터 중 HDMI 모니터가 제어판 디스플레이 정렬 탭에 인식으 되어 있으나 화면이 나오지 않는 문제가 있음.

부트캠프 윈도우도 같은 증상이 있음.

몇몇 케이블을 교체로 테스트를 해 봄.
구글링을 통한 크롬 하드웨어 가속 끄고, 맥 시작 프로그램 몇몇 삭제 조치를 해 봄.
19.12.6. 01:03 지속 관찰 시작.
19.12.6 문제 발생 확인.

<HDMI Dell 모니터>
5회 테스트 시 모두 정상 듀얼 모니터 출력 확인.


맥이 아닌 윈도에서 동일 현상이 관찰 되었으므로 맥 부팅 셋팅 문제와는 관련 없음을 확인.
케이블 및 모니터 조합 문제인 것으로 추정(19.12.6)

[결론]
맥 미니(Mac mini) 모니터 연결 썰더 볼트 포트를 1번을 이용 한 후 문제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19.12)

반응형
반응형

1. 맥 테스트 시스템 구성도 [1] => 5k 모니터 미출력 문제 발생(블랙아웃)

맥 테스트 시스템 구성도[1]

더보기
"블랙매직사 문의 내용"
전원을 키고선 초기 화면(사과모양)은 즉각적으로 나오며 정상임.
(블랙매직 직접 연결시)
맥 부팅->사과 모양에서 0.5진행 직후 썬더볼트 모니터 신호 없어짐
윈도우 부팅->윈도우 부팅 화면 0.5초 나타난 직후 썬더볼트 모니터 신호 없어짐

맥미니 직접 연결시는 해당 문제 없음.
블랙매직과 썬더 모니터 연결시 해당 문제가 발생함

2. 맥 테스트 시스템 구성도 [2] => 오랜 잠자기 후 맥 OS 패닉 현상 발생

맥 테스트 시스템 구성도[2]


* 맥 미니 오랜 잠자기 후 디플레이 켜지지 않는 문제
- 오랜 시간 잠자기 후 모니터 중 하나가 깜박임 현상이 잠깐 발생 후 로그인은 되나 마우스, 키보드 클릭 동작이 되지 않음. 그 후 약 3분 후 맥 미니의 최대 팬소음 후 전원이 꺼지거나 켜지는 현상 발생.
>> 디스플레이 끄지 OFF 설정으로 임시 조치해봄.

3. 맥 테스트 시스템 구성도 [3] => 5k 모니터 미출력 문제 발생(블랙아웃)
기본 시스템 구성은 1,2번 시스템 구성과 동일 하되 예상 되는 케이블 모든 조합을 시도 해 봄

(1) 블랙매직-5k (애플USB C케이블 적용) 
세 번째까지 부팅 테스트 문제 없음.
네 번째 부팅시 5k 디스플레이 미출력 문제 발생.

(2) 블랙매직-5k (벨킨USB C케이블 적용) 
두 번째 부팅 테스트 문제 없음.
세 번째 부팅시 5k 디스플레이 미출력 문제 발생.

(3) 블랙매직-5k (애플USB C케이블 적용)  & 맥매니-블랙매직 (애플USB C케이블 적용)
첫 번째 부팅 테스트 문제 없음.
두 번째 부팅 테스트 5k 디스플레이 미출력 문제 발생.
 (+5k 모니터 뒤 1,2번 포트 교차 테스트 시 5k 디스플레이 미출력 문제 발생.)
 (+위 상태 그대로 맥미니 1,2번 포트 교차 테스트 시 동일)
 (+ 5k 모니터 뒤 1,2번 포트 원래상태로 복원 후 테스트 시 동일)
 (+ 맥미니 1번 포트로 복원 후 테스트 시 정상 동작)
 (+위 상태로 두 번째 시도시 5k 디스플레이 미출력 문제 발생)
 (+블랙매직 1,2번 포트 교체 테스트 시 5k 디스플레이 미출력 문제 발생)

(4) 맥매니-블랙매직 (애플USB C케이블 적용)
첫 번째 부팅 테스트 시 5k 디스플레이 미출력 문제 발생

<사용 애플 스토어 공식 판매 케이블>
1. Belkin Thunderbolt 3 5A Cable (2m) 1개
2. Thunderbolt 3(USB‑C) 케이블(0.8 m) 2개

결론, 애플과 벨킨 케이블 예상되는 모든 케이블 조합시에도 5k 디스플레이 미출력 문제는 해결되지 않음.

4. 맥 테스트 시스템 구성도 [4] => 부팅 후 맥 OS 패닉 현상 발생

맥 테스트 시스템 구성도[4]

* 4k 모니터-LG 모니터 동봉 케이블-블랙매직-맥미니
첫 번째 부팅 테스트 시 HDMI 모니터 깜박이다 커널패닉 현상 발생.

* 4k 모니터-애플 USB C 케이블-블랙매직-맥미니
3번째 부팅 테스트 시 정상
4번째 부팅 테스트 시 HDMI 모니터 깜박임은 없었으나 커널패닉 현상 발생.

 


*** 맥 OS 패닉 현상
: 로그인 화면이 나타난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로그인 마우스 포인트는 움직이나 키보드 마우스 클릭이 반응이 없음. 혹은, 로그인 화면에서 마우스 키보드가 전혀 입력되지 않는 현상. 현상 발생 3 정도 맥미니(2018) 저절로 꺼졌다가 다시 부팅이 .


*** 현재 까지 결론
블랙매직의  썬더보트(USB C) 포트가 간헐적으로 인식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맥오에스 부팅 후  썬더보트(USB C) 포트에 연결된 모니터에서 아무 화면이 나오지 않습니다.
케이블 종류별로 테스트를 했고, 모니터도 장상임을 확인했습니다.
블랙매직 EGPU 대해 어떻게 조치를 해야 하나요?


GG. ㅠㅠ(19.12.6)


*** [결론]
썬더 볼트 포트 4번을 이용하여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 맥 미니(Mac mini) 연결 썰더 볼트 포트를 1번을 이용 한 후 문제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확인. (19.12)

반응형
반응형

 맥 컴퓨터 사용하면서 불편한 점 한가지가 키보드의 컨트롤 키와 커맨드(윈도우)키 위치 때문에 복사 붙여넣기 사용시(Ctrl + C, Ctrl + V)에 불편함이 있다. karabin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자주쓰는 커맨드(윈도우) 키를 키보드의 컨트롤(Ctrl)키와 바꿔 보도록 하겠다.

karabiner 프로그램에서 아래와 같이 키 설정을 합니다.

이제부터 커맨드(윈도우) 키와 컨트롤(Ctrl)키를 바꾼 설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맥을 사용할 때, 키보드 종류에 따라서 사용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리를 높이거나 줄일 때, 화면 밝기 조정등 기능 키다 정상적으로 작동 되지 않을때 유용한 프로그램 입니다.

karabiner 를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아 설치 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기능 키를 설정해서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Karabiner

추가로 미세 조정을 하려면, 해당 기능키와 Shift + Option(Alt) 키를 같이 사용하면 미세 조정이 가능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